[우리말 공부] 사시시옷
사이시옷 1. 순 우리말 합성어 또는 순 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 가운데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경우 바닷가, 나뭇가지, 대폿집, 전셋집, 찻잔 2. 뒷말의 첫소리 'ㄴ' 'ㅁ' 앞에서 'ㄴ' 소리가 덧나는 경우 제삿날, 곗날, 툇나무 3. 한자어로만 된 합성어에는 발음과 관계없이 'ㅅ'을 넣지 않는다. 소주잔(燒酒盞) 4. 한자어 중에서도 두 음절로 된 셋방(貰房), 숫자(數字), 횟수(回數), 곳간(庫間), 찻간(車間), 툇간(退間)의 경우는 예외로 'ㅅ'을 넣는다. 사이시옷은 규정이 다소 복잡하고 예외가 많다 보니 논란이 있는 부분이다. 누구에게나 어려운 면이 있기 때문에 헷갈릴 때는 사전을 찾아보는 게 좋다. [참고] 일반인을 위한 《글쓰기 정석》, 배상복 지음
단축키
내 블로그
내 블로그 - 관리자 홈 전환 |
Q
Q
|
새 글 쓰기 |
W
W
|
블로그 게시글
글 수정 (권한 있는 경우) |
E
E
|
댓글 영역으로 이동 |
C
C
|
모든 영역
이 페이지의 URL 복사 |
S
S
|
맨 위로 이동 |
T
T
|
티스토리 홈 이동 |
H
H
|
단축키 안내 |
Shift + /
⇧ + /
|
* 단축키는 한글/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,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