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OSPF가 직접적으로 사용하거나 OSPF 도메인을 통해서 정보배포를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서 간접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사용된다.
standard LSA Header + 32b application-specific information Header
- Opaque Type에 따라 application-specific 한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.
- application-specific 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.
[Opaque LSA Type]
Link Opaque (type-9):
- Flooding Scope -> Link-Local
- LSA를 수신한 Interface가 Neighbor의 target interface와 같지 않으면 discarding한다.
Area Opaque(type-10) :
- Flooding Scope -> Area-Local (AS 안에서 사용)
- 수신한 LSA에서 명시하고 있는 Area가 target interface가 속한 Area와 같지 않다면 discarding한다.
Domain-wide (External) Opaque (type-11):
- Flooding Scope -> throughout the AS (다른 AS로 플러딩이 가능함)
- transit area를 통해서 플러딩이 가능함.
- stub area와 NSSA 는 플러딩 되지 않는다.
- stub area와 NSSA는 이 LSA를 생성하지 않는다.
각 타입에 따라 정해진 Scope를 벗어난 패킷을 수신한 라우터는 Drop 한다.
- Flooding Scope -> Link-Local
- LSA를 수신한 Interface가 Neighbor의 target interface와 같지 않으면 discarding한다.
Area Opaque(type-10) :
- Flooding Scope -> Area-Local (AS 안에서 사용)
- 수신한 LSA에서 명시하고 있는 Area가 target interface가 속한 Area와 같지 않다면 discarding한다.
Domain-wide (External) Opaque (type-11):
- Flooding Scope -> throughout the AS (다른 AS로 플러딩이 가능함)
- transit area를 통해서 플러딩이 가능함.
- stub area와 NSSA 는 플러딩 되지 않는다.
- stub area와 NSSA는 이 LSA를 생성하지 않는다.
각 타입에 따라 정해진 Scope를 벗어난 패킷을 수신한 라우터는 Drop 한다.
Opaque Type을 지원하지 않은 라우터와 함께 운용한다면, 지원하는 라우터끼리만 정보를 flooding한다. (Database Exchange Process 과정에서 DBD Option필드의 0-bit를 보고 지원 여부를 알 수 있다.)
[참고]
link-state advertisement == LSA
Opaque란 단어를 채택한 이유에 대해서 개인적으로 추측해볼 때, 헤더만 보고 추가된 정보의 역할을 명백히 알 수 없기 때문에 투명(transparent)함의 반대말인 Opaque이란 말을 사용하지 않았나 추측해본다.
반응형
'IT Tech > 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네트워크] CSPF (Constrained Shortest Path First) 동작원리 (0) | 2011.06.03 |
---|---|
[네트워크] OSPF의 SPF(Shortest Path First) 일반적인 동작 원리 (0) | 2011.06.02 |
[네트워크] MPLS TE(Traffic Engeering) Extenstion Opaque LSA for OSPFv2 (0) | 2011.06.01 |
[네트워크] OSPF Router LSA Packet Format (0) | 2011.06.01 |
[네트워크] OSPF DB Description 패킷 구조 (0) | 2011.05.31 |
[네트워크] VLAN Trunk 간단 개념 (0) | 2011.05.10 |
[네트워크] IGMP SNOOPING (0) | 2011.05.10 |
[네트워크] TCP Fast Retransmisstion (0) | 2011.05.07 |
[네트워크] 서브넷팅, VLSM, CIDR(수퍼넷팅) 간단 설명... (0) | 2011.04.30 |
[네트워크] MPLS TE FRR(Fast Reroute) (0) | 2011.04.17 |